요철의 아름다움을 고집해 계속 활자 문화를 미래에 남기는 [츠키지 활자]
![凹凸の美にこだわり続け活字文化を未来に残す[築地活字]](https://magcul.net/wp-content/uploads/2018/03/d2f334f762e29d7e47eacfec80cff685.jpg)
제조
일 만들기
장인 풍경
이번 호의 현장
【직종】활자 주조 장인
【장인】츠키지 활자 오마츠 첫행
【장소】요코하마・미나미구
정중하게, 차분히, 생각을 담아.
수공예를 살린 제조의 현장을 소개하는 코너.
이번에는 한때 일본의 인쇄문화를 지원한 활판 인쇄
의 세계를 소개.디지털화가 진행되는 현대에 있어서도
많은 고객으로부터의 지지를 모으는 「츠키지 활자」에.


「활자의 방」이라 불리는 사용고된 나무의 선반. 연창업의 「츠키지 활자」. 가게 안쪽에서 큰 기계음을 울리는 것은 활자 주조기이다. 에 미리 설치한 오목형의 모형에 흘러 들어가 수돗물로 식히면서 볼록형의 활자가 되어 나타난다 19세부터 여기서 주조 장인으로서 일하는 오마츠씨는, 현재 73세. 넘어지면서 돋보기를 들여다보고 갓 만든 활자를 점검해 간다.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 라인 「요시노쵸역」에서 바로.오오카 강에서 분기하는 나카무라강을 따라 「츠키지 활자」는 있다. 기름이 탄 것 같은 독특한 기계의 냄새. 그 소리와 냄새의 정체는, 방의 안쪽에 늘어선 활자 주조기로, 장인의 오마츠씨가 한때도 옆을 떠나지 않고 기계의 움직임을 지켜보고 있다.
이번에, 「츠키지 활자」의 5대째로서 활자 주조와 활판 인쇄를 계승하는 히라코 키이치씨에게 이야기를 들을 기회를 받았다.
「선대의 아버지가 말하고 있었던 말로 잊을 수 없는 것이 있어, 『지금의 신문의 문자보다, 옛 신문의 문자가 눈이 지치지 않는다. 그 말을 지금은 스스로도 강하게 실감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인쇄가 진행되는 현대 사회 속에서, 굳이 “무게 있는” 활판 활자를 만드는 장인의 기술을, 참을 수 없는 진짜로서 세상에 보내는 것에 사명을 느끼고 있습니다”라고 헤이공씨.
헤이코씨의 안내로, 오랜 시간을 거쳐 지금에 숨쉬는 활판 인쇄에 관련된 다양한 “도구”와 “기술”을 보여준다.

이쪽은, 활자 만들기에 빠뜨릴 수 없는 주형이 되는 “모형”이 수납된 통칭 “모형 댄스”. 25만 이상의 자종의 모형이 보관되고 있다고 하지만, 그 모형을 만드는 장인이 더 이상 없다는 지금, 여기에 담긴 것은 매우 귀중한 “보물”이라는 셈이다.
이쪽의 「모형 금고」에도 귀중한 황동의 모형이 거두어지고 있다.


이 오목형의 부분에 열로 녹인 원료의 금(잉곳)을 흘려 넣으면, 볼록형의 활자가 되어 탄생한다고 하는 구조다.
다음에 보여 주신 것이, 주조 장인·오마츠씨에 의해 만들어진 활자가 빗실리 담긴 통칭 “활자 방”.


왜 선반이 대각선으로 수납되는가? … 히라코 씨에게 물으면 「활자를 넣은 선반을 비스듬히 수납하고 있는 것은, 지진 대책입니다.매우 밸런스가 잡힌 상태로 설계되고 있기 때문에 지진 때도 활자가 튀어나오기 어렵고, 이것도 포함해 대대로 계승된 스타일입니다」.또 활자의 배열 방법은
이곳은 "츠키지 활자"에 맞는 활자 중 가장 작은 4 포인트의 활자 선반. 이러한 활자를 짜는 일도 없어져 버렸다.
계속해서, 활자 주조기를 조종하는 장인·오마츠씨의 일장을 배견하겠습니다.




활자의 원료가 되는 금(잉곳) 소재는 납이 83%, 나머지가 안티몬 15%와 주석(주석) 2%로 구성되어 있다.
활자 주조기에서는 솥을 350~400도로 가열하고, 전술한 금(잉곳)을 녹여 액상으로 한다.

중앙부에 쌓여 있는 것이 액상이 된 금.
거친 열기가 일어나는 주조기 옆에 서서 장시간 가마의 모습을 지켜보면서 작업을 계속하는 오마츠씨.
금을 녹인 솥에 막대기를 넣어 소재의 비중 등 ‘응답’을 확인한다.

솥에서 녹은 금은 이후 오목한 모형으로 흘러 들어간다.
오목형의 모형에 흘러 들어간 금은, 수돗물(사진상)으로 식히면서 볼록형의 활자가 되어 탄생한다.


완성된 작은 활자를 돋보기를 사용해 체크한다는 치밀한 작업이 이어진다.
물과의 접촉에 의한 수증기 폭발의 위험도 있기 때문에, 주조기 위에는 배기 덕트를 설치하는 것이 소방법으로 정해져 있다고 한다.
그리고 여기서부터는 히라코 씨에게 활판 인쇄의 간단한 흐름을 가르쳐 주시기 바랍니다. 그러면서 "체스"라고 불리는 금속의 테두리에 넣어 판을 만들어 가는데, 이것이 좀처럼 어렵다.

최종적으로는 롤러 부착의 인쇄기에 「체이스」를 달아, 잉크, 종이를 세트하여 인쇄→완성이 된다.
「츠키지 활자」에서는 아름다운 활판 인쇄의 활자를 보다 가까이 느끼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활자 홀더」의 판매도 실시하고 있다.

여담이지만, 활판 인쇄의 매력은 종이에 각인된 것 같은 깊은 (뒤쪽까지 뻣뻣한) 요철감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옛날부터 활판 인쇄로, 강요가 너무 강한 장인은 안된다고 알려져 "표면에서 아름다운 요철을 표현하면서 어떻게 그것을 뒷받침하지 않고 뒷면의 종이의 표정을 바꾸지 않는지가 팔의 보이는 곳입니다"라고 깊은 이야기를 많이 들려 주셨다.
일로 활판 인쇄의 명함을 받으면, 무심코 손에 잡고 가만히 바라 버린다 그 이유가 오늘, 다시 알 수 있었다. 없는 종이 안에, 계속 계승되어 온 장인의 기술과 생각이 새겨져 있으니까. 명함은 물론, 앞으로의 시기는 연하장에 활판 인쇄를 도입해 보는 것은 어떨까? 손에 든 사람이, 문자의 아름다움에 반해, 무심코 살짝 손가락으로 만지고 싶어지는… 그런 연하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