コンテンツにスキップ
美術・写真

제56회 베네치아 비엔날레 국제미술전 리포트 제2탄

「第56回ヴェネチア・ビエンナーレ国際美術展」レポート 第2弾

2015.8.25

「김사자상 수상 아티스트의 전시와 국가별 파빌리온, 120년의 역사와 미래를 둘러싼 감상의 스스메」

베네치아시가 예술 문화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시작한 베네치아 비엔날레는 올해로 120주년.
오늘은 53개국 136명의 작가가 참가하는 기획전과, 전회 인터뷰한 일본관을 포함한 89개의 나라별 파빌리온에서의 전시가 동시 개최되는 세계 최대급의 국제 미술전에 발전해, 각 작품에는 지구 규모에서 일어나고 있는 글로벌화의 한편으로 다양화하는 예술의 표현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 리포트에서는, 금사자상을 수상한 작가의 전시나 나라별 파빌리온의 모습에 더해, 절목을 맞이한 베네치아・비엔날레의 역사를 즐기는, 마그칼 편집부 특파원에 의한 가상 투어를 보내드립니다.

우선 카페 플로리안에서 역사에 마음을 담아 메인 회장에서 마르크스를 듣는다

베네치아의 중심,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광장과도 칭찬되는 관광지 산 마르코 광장에 있는 1720년 창립의 전통 카페 '카페 플로리안'에서는 매일 밤처럼 아티스트와 유식인들이 모여 논의를 나누고 있습니다. 했다. 1893년, 이 카페에서 베네치아 비엔날레의 구상이 탄생했습니다. 궁정의 권력을 과시하는 목적도 있던 비엔날레입니다만, 국내외의 현대 예술의 다양성을 인정해, 예술 문화를 통해 자유로운 언론을 나누는, 이 카페가 이미 완수하고 있던 기능의 확장을 목표로 한 것이었다 입니다. 그런 사실에 생각을 느끼게 하면서, 우선은 여행의 피로를 풀어 방대한 전시의 감상에 대비합시다.

카페 플로리안

카페 플로리안 제공: Caffè Florian Venezia(Archivio Caffè Florian)

국립 조선소의 철거지를 이용한 「아르세날레」와 섬에서 최대 규모의 공원으로 초록이 넘치는 「자르디니」의 2개의 주요 회장의 전시실로 향합시다. 우선은 자르디니의 센트럴 파빌리온에. 여기에는 이번 비엔날레를 특징짓는 큰 빨간 아레나(극장)가 만들어졌습니다. 19세기 후반부터 21세기, 근대에서 현대로 확실히 극적인 역사의 양념을 반영해 온 베네치아 비엔날레. 이 전시회장의 중심에 위치한 무대부터 현대사회의 상황을 다시 관측하고 미술 이외의 영역도 횡단하면서 오늘의 예술적 표현을 탐구하는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습니다. 기획전의 주요 참고문헌으로도 되어 있는 마르크스의 「자본론」(전 4권)을 7개월의 회기를 사용해 매일 낭독하는 것 외, 패널 토론, 음악이나 댄스를 포함한 퍼포먼스, 영상 작품의 상영 또한 행해져 자유롭게 감상할 수 있습니다.

자르디니 센트럴 파빌리온 내에 설치된 '아레나'와 거기서 행해지는 이벤트처럼

자르디니 센트럴 파빌리온 내에 설치된 「아레나」와 거기서 행해지는 이벤트의 모습
Isaac Julien
DAS KAPITAL Oratorio, 2015.
촬영: Andrea Avezzù 제공: la Biennale di Venezia

기획전 「전세계의 미래」

계속해서 센트럴 파빌리온을 살펴보겠습니다. 5미터의 사다리 끝에 영화의 마지막과 같이 'The END'라고 적혀 있습니다. 생전 이탈리아 영화계와도 친교가 있던 로마 출신의 파비오 마우리(1926-2009)의 이 큰 인스톨레이션 작품이 시사하는 「영원의 끝」혹은 화면이 암전하기 전의 한 컷으로부터 기획전은 시작되어 신구의 작가의 전시가 계속됩니다.

올해의 기획전의 종합 테마는 「All the World's Futures(전세계의 미래)」. 종합 디렉터는 1963년 나이지리아 출생으로 현재는 독일 뮌헨에 있는 '하우스 데어 쿤스트'의 관장인 옥위 엔베조. 서양 중심주의에서 포스트 식민지 시대로 변하는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다룬 전람회에서 그 수완을 발휘해 왔습니다. 이번 비엔날레에서는 앞의 '자본'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균열이 발생하고 있는 현상을 감안하여, 이 불안정한 세계와 역사의 연결을 다시 한번 고찰하고 예술과 사회의 새로운 관계성(미래) 를 제시하려고 시도했습니다.

금사자상을 수상한 에드리안 파이퍼(1948년 뉴욕 출생, 현재는 베를린 거주 활동)는 자르디니에서 'Everything will be taken away'와 칠판에 그려진 드로잉(《Everything 21》, 2010- 13년), 또 아르세날레에 계속되는 전시에서는《The Probable Trust Registry: The Rules of the Game #1-3》(2013년)을 전시. 전자는, 처치로서 아이가 같은 단어를 몇번이나 쓰여지고 있는 상황을 상정하면서, 모두는 붕괴를 면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하고, 후자는 「I WILL ALWAYS BE TOO EXPENSIVE TO BUY」등이라고 서 선언서에 감상자가 사인을 하는 참가형의 설치로 자본주의 사회에서 성립하는 언론을 능숙하게 조롱하고 있습니다. 아르세날레에서는 다큐멘터리 영상 작가 임훈승(1969년 서울 출생, 현재도 서울 거주·활동)도 시간을 들여 감상합시다. 아시아의 여성 노동자 약 20명에의 인터뷰와 투쟁 현장 등을 비춘 장편 영상 작품《Factory Complex(위로 공업 단지)》(2014년)에서, 젊은 작가에게 수여되는 은사자상을 수상했습니다. 시상식에서 훈승은 “(가혹한 현상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노동과 인생, 일상은 예술과 항상 일체라는 것도 전하고 싶다”고 말합니다.

파비오 마우리

파비오 마우리
Macchina per fissare acquerelli, 2007.
Fabio Mauri e Pier Paolo Pasolini alle prove di Che cosa p il Fascismo 1971, 2005.
Il Muro Occidentale o del Pianto, 1993.
촬영: Alessandra Chemollo ©la Biennale di Venezia

아드리안 파이퍼

아드리안 파이퍼
Everything 21, 2010-2013.
촬영: Alessandra Chemollo ©la Biennale di Venezia

아드리안 파이퍼

아드리안 파이퍼
《The Probable Trust Registry: The Rules of the Game #1-3》, 2013.(전시 풍경)
촬영: Alessandra Chemollo ©la Biennale di Venezia

다양화하는 국가별 파빌리온 시도

개성적인 나라별 파빌리온이 늘어선 자르디니에서는 꼭 벨기에관에도 들러 보세요. 벨기에관은 1907년에 시작하여 건설된 국가별 파빌리온입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브뤼셀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작가 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 10조 이상의 아티스트가 더해져 '미크로 히스토리(알 수 없는 역사)'를 파내는 것으로 1908년 벨기에 정부가 식민지화했다 콩고에 중점을 둡니다. 지배에 대한 반항의 노래나 룸바의 리듬이 흐르는 영상에서는 유럽과 그 식민지 사이에서 일어난 착취나 폭력 등의 불행한 이야기에서 일단 떨어져 식민지 시대의 콩고에서 발전한 아트나 음악, 행동 주의 등 문화적 활동을 촉진하는 유익을 가져온 것도 밝히고 있습니다.

《One.Two.Three》

《One.Two.Three》,2015. Vincent Meessen and Normal, Brussels

벨기에관 「Personne et les Autres」전(전시 풍경)
벨기에관 「Personne et les Autres」전(전시 풍경)

벨기에관 「Personne et les Autres」전(전시 풍경)
촬영: MAGCUL.NET 편집부
http://www.personne-et-les-autres.be/

마지막으로 이번 금사자상을 수상한 「아르메니아관」으로 갑시다. 베네치아 본섬에서 배로 20분 정도의 산 나사로 델리 아르메니 섬("아르메니아의 섬"의 뜻)에 있는 수도원이 전시회장으로 되어 있습니다. 여기에서도 출생지나 활동 거점을 달리하는 16조의 작가에 의한 그룹전이 개최되고 있습니다만, 그들은 모두, 지금부터 100년전에 일어난 아르메니아인 대량 학살 때에 이산한 사람들의 후손입니다 . 터키의 동쪽에 위치한 그들의 조국에서는 타민족의 침입이 끊임없이, 이 섬도 베니스 공화국이 18세기의 터키의 침략으로 국외로 도망한 아르메니아인 수도승에게 준 것. 이 고비의 해에 「Armenity(아르메니아 인성)」를 고찰하기 위해, 국적을 넘어 모인 작가들은 자신들의 정체성과 기억을 추적한 작품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당시 침략자 측인 터키에서 태어난 사르키스(1938년 이스탄불 출생, 현재 파리 거주 활동)는 통상 종교적인 그림이 그려지는 스테인드 글라스에 일상을 그려 자연광에 좌우되지 않고 야간에도 LED로 조명되는 작품을, 또 Hera Büyüktaşçıyan(1984년 이스탄불 태생, 현재도 거주·활동)는, 일찌기 이 수도원이 유럽에서도 중요한 활판 인쇄소였던 역사를 조각 작품으로서 표현. 이들 현대에 태어난 작품은, 이 조용한 수도원에서 온화한 「재회」나 「화해」를 완수하고 있는 것 같다. 음의 역사를 극복하는 예술의 교류의 힘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아르메니아관 “Armenity/”전(전시 풍경)
아르메니아관 “Armenity/”전(전시 풍경)
사르키스

아르메니아관 “Armenity/”전(전시 풍경)
http://www.armenity.net/
【상 4점】촬영:MAGCUL.NET 편집부
【하1점】사르키스《Croix de brique, from Ailleurs ici, Chaumont-sur-Loire》, 2012. © Piero Demo, 2012

리포트 문책: 이이다 마코토(미술사가)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