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에서 워크숍!~아이들과 나를 연결

21 세기를 사는 광언사의 히노 무대
Vol.7 아이들과 나를 연결하는 것
大藏教(노락 사, 광말 법)
히라타 선생님은 내가 초등학교 3학년 때 담임 선생님이었다.
방 커튼을 닫고 어둡게합니다.
촛불에 불을 켜면 이야기가 시작된다.
선생님은 짧은 이야기를 암기해 주고 있어 학생의 얼굴을 한사람 한사람 보면서 말을 건네준다.
그 시간이 나에게는 특별한 시간이었다.
지금 초등학교 6학년 교과서에는 광언 ‘가키야마 후시’의 이야기가 게재되어 있다.
반드시 소인수제로 실시하기 때문에, 1학년 70명 이상이라면 2회로 나누어 임한다. 수업의 일환이지만, 정직하게 말하면 「광언이란 무엇인가」는 배우지 않아도 좋다고 생각하고 있다. 광언이 가지는 희극적인 요소, 도덕심, 발상의 풍요로움, 예의, 과장한 표현방법, 기모노, 연자의 인간성 등 다양한 요소를 흩어져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가 아이들의 마음에 남아 주면 좋다, 그렇게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휴식중에 세간 이야기를 해주거나 조금을 내어 온다.기모노의 시착 체험에서는 지금까지 어른이었던 아이가 적극적으로 참가해 주기도 하고, 광언의 대사를 말할 때는, 모두의 앞에 나와 큰 소리를 내고 체험해 주는 아이도.
그런 ‘화학반응’을 볼 수 있는 것도 워크숍의 묘미다.

그러한 활동을 7년 정도 계속해 온 것이지만, 올해 초에 실시한 학교의 교장 선생님으로부터, 매우 기쁜 보고를 받았다. 말 체험”이라는 표제로 당일을 썼다는 것이다.
그 밖에도 아이들이 광언 '감산복'을 연기한 모습을 동영상으로 보내주시는 학교도 있는 등 수년에 걸쳐 노력해 온 성과가 열매로 모든 노력이 보상됐다는 감개를 씹고 있다.
워크숍의 마지막은, 히라타 선생님의 이야기를 한다.
제가 워크숍을 즐겁게 할 수 있는 건 히라타 선생님 덕분이니까.
아이들의 미래가 언제나 빛나고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