コンテンツにスキップ
미술·사진

축・환력! 음악당 개관 60주년 기념 “후지모리 테루노부 씨에게 듣는 음악당의 매력”

祝・還暦!音楽堂開館60周年記念「藤森照信氏に聞く音楽堂の魅力」

interview·text·photo:니시노 마사오

전후 일본 최초의 공공 음악 홀로서 탄생한 가나가와 현립 음악당도 올해로 무려 60주년.

마에카와 쿠니오에 의한 설계는 시민뿐만 아니라 많은 건축가도 매료해, 목재를 많이 사용했다고 하는 특징적인 “나무의 홀”은 개관 당시 「토요이치의 울림」이라고 절찬되고, 그 울림은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마그칼에서는 음악당 60주년을 기념해, 아직 음악당을 방문한 적이 없다고 하는 분을 위해 건축사가, 건축가인 후지모리 테루노부씨에게 가나가와 현립 음악당의 훌륭함에 대해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사진 왼쪽:개관 당시의 음악당 외관 ©마에가와 설계 사무소 사진 오른쪽:현재의 카나가와 현립 음악당

사진 왼쪽:개관 당시의 음악당 외관 © 마에가와 설계 사무소

사진 오른쪽 : 현재의 카나가와 현립 음악당 © 아오야나기 사토시

가나가와 현립 음악당이란?

후지모리 선생님은 가나가와 현립 음악당이 주최하는 「음악당 건축 견학회」에도 많이 출연되고 있습니다만, 아직 음악당을 방문한 적이 없는 분을 향해, 다시 음악당에 대해서 이야기를 들려 주실 수 있습니다 그럴까요?

「가나가와 현립 음악당」은 이른바 전후의 건축으로서는 초기의 것으로, 음악당이 건설될 때까지 음악 전문의 공공 시설이라고 하는 것은 일본에 없었습니다.

물론 도쿠가와 요시다 다가 만든 민간의 홀은 있었습니다만, 그때까지는 극장적인 곳에서 음악, 연설, 집회와 무엇이든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음악이라고 하는 것은 "울림"의 문제가 있으므로 역시 일반의 극장과는 나눠야 한다. 그런 문제가 있어, 해외에서는 오페라나 극과 장르에 의해서 시설을 나누는 것이 당연했습니다만, 「일본에도 음악 전용의 시설을 만들자」라고 당시의 가나가와현 지사가 고안해 건축에 있던 것 입니다.

주지사는 그 밖에도 가마쿠라에 가마쿠라 근대 미술관도 만들거나 하고 문화적 시설의 건축에 열심으로, 거기가 사회적으로는 가장 컸다.

덧붙여서 음악당을 설계한 것은 마에카와 쿠니오라는 분으로, 마에카와씨라고 하면 도쿄의 도쿄 문화 회관이나 마루노우치의 도쿄 해상 닛동 빌딩 등, 전후의 공공 건축을 리드한 분입니다.

그 마에카와씨의 전후 초기의 대표작의 하나가 카나가와 현립 음악당이군요.

11월에 개최된 「건축 견학회 특별편」의 모습.

11월에 개최된 「건축 견학회 특별편」의 모습. 가나가와 현립 음악당에서는 매년 「건축 견학회」를 개최하고 있어
이벤트에서는 강의뿐 아니라 평소에는 볼 수 없는 장소 견학, 미니콘서트 등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다. 사진 : © 아오야나기 사토시

마에카와 쿠니오가 생각한 휴먼 스케일에 대한 연구

ー 지금, 설계된 마에카와 쿠니오씨의 이야기가 나왔습니다만 음악당에 있어서의 마에카와 건축의 특징과 같은 것은 어떠한 것입니까.

건축적인 특징으로서는, 우선, 배치나 간취 등, 매우 플랜이 잘 되어 있습니다.
단풍길을 올라 건물로 향하면 왼손에 도서관이 있고, 정면에 음악당이 있다.
단풍길을 오른 후 문득 건물이 나타나는 모습은 매우 능숙한 처리를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건물의 뒷면도 잘 도선을 나누고 있고, 그러한 처리는 마에카와 씨는 정말로 괜찮은 일로 알려져 온 사람입니다.

도서관과의 관계로 말하면 도서관과 조금 어긋나 음악당이 늘어서 있고, 건물과 건물 사이가 비어 있습니다.

그 빼낸 공간을 위의 복도에서 연결하고 있습니다만, 저런 만드는 방법은 마에카와씨의 자랑스러운 방식으로, 매우 좋다. (※현재 복도는 통행할 수 없다)

그리고 사람이 방문했을 때 은행이나 신전처럼 위압감이 있는 제작이 아니라 부드럽게 방문자를 맞이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나 같은 건 좀 깡패 지어도 좋다고 생각하지만(웃음).

원래 전전까지의 공공 건축은 껄껄 "우뚝 솟은" 이미지가 있었군요. 그러나 그는 진심으로 시민사회라고 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던 건축가이므로, 좀 더 사람들을 받아들이는 듯한 이미지를 소중히 하고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사진 왼쪽 : 도서관과 음악당을 연결하는 복도 © MAGCUL 사진 오른쪽 : 피로티를 이용한 정면 현관

사진 왼쪽 : 도서관과 음악당을 연결하는 복도 © MAGCUL
사진 오른쪽 : 피로티를 이용한 정면 현관 © 아오야나기 사토시

― 역시 「전후」라는 의식이 마에카와 쿠니오가 가지는 설계의 이미지에도 크게 작용하고 있었습니까.

매우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전쟁 전의 공공 건축의 특징은 대체로 깡패와 우뚝 솟은 이미지가 많아,
도쿄도의 미술관이나 전전의 것은 전부 그렇습니다. 역시 신전과 같은 만드는 방법의 대표군요.
마에카와씨는 그렇게 하지 않고, 기둥을 사용해 큰 피로티를 만든 것입니다만, 기둥의 사이로부터 쑥 쏟아져 가는 만들기라고 하는 것은 이미 전후적인 방식이군요.

물론 피로티라는 것은 마에카와 씨가 생각한 것이 아니라 르 코르뷔지에 라는 마에카와 씨의 선생님이하고 있던 방식이지만, 그 방법을 잘 사용하여 쭉 들어갈 수있는 연출을하고 있습니다. 또 관내에 들어가면 음악당에는 호와이에라는 큰 공간이 있군요.

그 호와이에가 제가 가장 좋아합니다. 외관에 대해서 말하면 탄시타 켄조 씨가 만드는 건축 쪽이 껄껄하고 있어도 좋습니다만 (웃음).

덧붙여서 마에가와 씨와 단시 씨는 사제 관계에 있고 마에카와 씨는 선생님이지만 건축가로서는 라이벌이기도 하고, 음악당도 콤페에서 단시 씨를 그만두고 채용된 건축입니다.

단지 안의 홀로 나아가면, 그 홀은 분명하게 탄시 씨보다 잘 만드는 방법을 하고 있네요. 단시 씨가 만드는 홀은 외관이 강력하고 좋지만,
안에 들어가면 아무래도 홀로서는 너무 강한 곳이 있다.

하지만 마에카와씨의 건축에는 그것이 없고, 그의 건축은 “휴먼 스케일”이라고 하는 인간의 치수나 감각에 맞추어 만들고 있습니다.

그리고 계획이 매우 능숙하다고 생각한 것은 그는 음악당의 홀의 바닥을 잘 공간 이용하고 있어, 2층 테라스의 천장을 봐 보면 계단 형태로 울퉁불퉁하고 있지요.

저것은 위가 객석입니다. 계단에서 두 번 올라가면 한쪽은 객석 아래를 이용한 천장이 있고, 반대쪽은 유리가 일어서 안뜰에서 빛이 들어오지요.

그 공간의 사용법은 정말 잘합니다.

사진 왼쪽: 넓은 1층의 와이에. 천장이 객석 아래임을 알 수 있다. © 아오야나기 사토시 사진 오른쪽 : 큰 창문에서 외광이 꽂혀 안뜰의 녹색이 콘크리트의 차가움을 중화하고있다. © MAGCUL

사진 왼쪽: 넓은 1층의 와이에. 천장이 객석 아래임을 알 수 있다. © 아오야나기 사토시

사진 오른쪽: 큰 창문에서 외광이 꽂혀 안뜰의 녹색이 콘크리트의 차가움을 중화하고 있다. © MAGCUL

― 확실히 그 장소에 서 있을 때는 거기가 객석 아래라고 느끼게 하지 않는 공간이 되어 있네요.

그렇습니다. 왜 신경이 쓰이지 않는가 하면 그렇다면 천장이 안뜰을 향해 퍼져 있어 빛이 들어오기 때문이군요.

그 사용법이 없으면 공간에 감싸지는 느낌이 되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또 그는 풀어 놓은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풀어 놓은 콘크리트라고 하는 것은 처음에는 창고라든지 지하실 등의 장소에 사용하는 이미지이며, 개발된 당초는 외관에 사용한다고 하는 수법은 싫어하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처음 사용한 것이 오귀스트 페레라 는 프랑스의 건축가로, 마에카와 씨도 르 코르뷔지에에게서 타방을 몸에 익혀 돌아왔는데, 자신의 작품에서는 당초 사용하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전후가 되어 사용하기 시작하는 것입니다만, 풀어주는 것은 콘크리트 그대로 마무리하기 때문에 조금 인상이 난폭해요. 매우 인간의 피부에 부드럽지 않습니다. 그러나 상냥하지 않은 마무리이지만, 음악당 정도의 스케일로 빛을 관내에 잘 도입해, 주위에 초록을 배치하는 것으로 그것이 돋보이는군요.

그 안뜰 덕분에 와이에이는 타방해 콘크리트가 가지고 있는 차가움을 상당히 경감시키고 있어, 매우 휴먼 텍스처가 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밖에도 음악당의 호와이에의 기둥을 보세요. 똑바르지 않고 타원형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만 그것은 기둥을 가능한 한 얇게 가늘게 보이기 위한 궁리입니다.

그게 없으면 정말 공간이 강해져 버린다고 생각합니다만 그 궁리로 기둥의 힘을 잘 지우고 있고, 외벽에도 테라카타 구이의 블록을 사용하는 등 콘크리트의 힘을 되도록 억제하기 위한 섬세한 궁리가 도처에 베풀어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진 왼쪽: 얇게 보이기 위해 타원에 만들어진 기둥. 목제 거푸집에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나뭇결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 MAGCUL 사진 오른쪽 : 외벽에 사용되는 테라 커터의 구멍 빈 블록 © MAGCUL

사진 왼쪽: 얇게 보이기 위해 타원에 만들어진 기둥. 목제 거푸집에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나뭇결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 MAGCUL

사진 오른쪽 : 외벽에 사용되는 테라 커터의 구멍 빈 블록 © MAGCUL

생각할 수없는 소재 · 장인의 기술

ー 외관이나 도처에 베풀어진 기술적인 훌륭함에 대해 (들)물었습니다만 음악당의 특징으로서 「나무의 홀」이 있네요.

우선 나무는 소리의 울림이 좋습니다. 그것은 세계에서도 공통의 인식입니다만, 알기 쉽게 말하면 바이올린이 목재를 사용하고 있는 것처럼, 홀 전체가 바이올린 안에 있는 것 같은 이미지군요. 그리고 온정이 있다.

또 일본은 압도적으로 나무가 뛰어나므로 그것을 사용하지 않는 손은 없기 때문에, 그런 점에서 소재 선택도 성공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덧붙여서 당시의 유럽의 극장 등은 나무를 반드시 사용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석고나 돌 등 여러가지 다른 소재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음악당처럼 홀 전면에 나무를 사용하고 있는 홀이라는 것은 매우 드물지도 모르겠네요.

사진 왼쪽: 목재를 최대한 사용한 홀 내부. 시각적으로도 목재가 가진 따뜻함이 느껴진다. © 아오야나기 사토시

사진 왼쪽: 목재를 최대한 사용한 홀 내부. 시각적으로도 목재가 가진 따뜻함이 느껴진다. © 아오야나기 사토시

― 과연. 그러나 전후라는 상황에서 비용면 등 경제적인 이유로의 셀렉트라고 하는 가능성도 있을까요?

확실히 그것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단지 그 홀에서 나무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그 밖에 바뀌는 자재는 없었을까 생각합니다.

지금은 그 밖에 바뀌는 소재도 여러 가지 있습니다만, 건물의 분위기를 부드럽게 하려고 하는 생각도 있어서의 타방과 나무의 조합이라고 생각하고, 타방해 건축에서도 사람이 접하는 장소에는 나무를 사용하는 것이 일본 건축의 특징이니까요.

덧붙여서 유럽의 타방 건축은 모두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만 거기에 나무를 짜 넣어 가는 것이 안토닌·레이몬드 군요. 그 흐름으로 마에카와 씨도 놓고 나무의 조합을 자주 사용하게 된 것일지도 모릅니다.

― 조금 전 후지모리씨는 와이에이의 제작을 제일 좋아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만, 와와이에의 어느 부분이 특히 좋아하는 것일까요?

역시 그 바닥의 마무리군요. 그 테라조 마감 바닥은 정말 훌륭합니다.

― 확실히 그 마루는 음악당 건축 견학회에서도 상영하고 있던 당시의 기록 영상으로 완성하고 있는 모습이 찍혀 있었습니다만, 모두 장인에 의한 수공이라고는 생각되지 않는 섬세한 마무리에 매우 놀랐습니다 .

당시는 장인에게 부탁해도 그렇게 높지 않았어요. 좋은 시대군요 (웃음).

지금은 그 마무리를 할 수 있는 장인이 적어져 버렸기 때문에, 바닥을 모두 티타늄 마무리로 하는 것보다 높게 붙는다고 생각해요.

꽤 큰 돌을 섞어 연마하고 있습니다만 모두 수작업이니까요. 대단한 마무리예요.

사진 왼쪽: 현재도 빛을 잃지 않는 테라조 마무리 바닥. © MAGCUL 사진 오른쪽 : 장인이 수작업으로 테라 조를 마무리하는 모습. © 다이세이 건축 주식회사 요코하마 지점

사진 왼쪽: 현재도 빛을 잃지 않는 테라조 마무리 바닥. © MAGCUL

사진 오른쪽: 장인이 수작업으로 테라조를 완성하고 있는 모습. © 다이세이 건축 주식회사 요코하마 지점

- 기술이 진행되고 있는데 장인이 없다는 것은 어려운 문제군요. 그러고 보니 건물 전체의 콘크리트도 모두 수작업에 의한 수련이라는 것도 지금은 생각할 수 없습니다.

맞습니다. 그렇지만 어째서 손으로 반죽할까라고 하면 손으로 반죽하는 편이 단단해집니다.

당시는 검사 방법도 진짜 재미있고, 만든 콘크리트를 나누고 안에 들어있는 돌도 동화하고 함께 깨지면 OK였습니다.

지금의 콘크리트에서는 그런 깨지는 방법은 하지 않네요.

― 지금 현재는 굳이 수련을 사용한 건축 등은 없는 것일까요?

아니요. 인건비나 콘크리트의 무게도 있습니다만, 너무 딱딱해 지금의 믹서차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모두 흘려 넣는 것도 수작업이 되기 때문에, 방수성이나 내구성에서는 이상입니다만, 지금은 절대 생각할 수 없는 수고가 걸려 버리기 때문에.

(※현재의 믹서차 1대분은 인력에 의한 수레차 50회분이 되어, 원 플로어에는 믹서차 100대분의 콘크리트가 필요하게 된다)

인력으로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모습. 싱크대 작업도 모두 수작업으로 실시하고 있다. © 다이세이 건축 주식회사 요코하마 지점

인력으로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모습. 싱크대 작업도 모두 수작업으로 실시하고 있다. © 다이세이 건축 주식회사 요코하마 지점

역사적 건축물을 남겨두는 것의 중요성

ー 한번 가나가와 현립 음악당은 재건축의 위기가 있었습니다만 그 때도 후지모리 선생님은 재건축에 반대의 성명을 내리고 있군요.

나는 역사가이기 때문에 낡은 것은 남기고 싶다고 하는 기본적인 노선이 있었습니다만,

건축가는 낡은 것은 부서져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이 당시에는 많았을지도 모르겠네요.

그러나 음악당의 재건축안이 부상했을 무렵은 「역사적인 건조물은 남겨 가야 한다」라고 하는 의식이 건축가에게도 퍼져 나간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ー 그것에 관해서는 찬성 반대와 많은 의견이 나왔는지 생각합니다. 어느 쪽의 의견에도 이익은 있을까라고 생각합니다만, 음악당 뿐만이 아니라 이러한 역사가 있는 건조물을 보존해 나가는 것의 중요성에 관해 선생님은 어떻게 생각합니까?

음악당도, 지금도 만들려고 하면 같은 기법으로 만들 수 있어요. 하지만 그 건물은 수십 년 동안 세워져 있고, 연인과 온 적이 있는 사람, 어렸을 때 부모님에게 끌려온 적이 있는 사람 등, 다양한 사람이 방문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역시 오랜만 에 온 사람은 낯설 것입니다.

역사가 있는 건물을 방문하면 역시 인간은 섬세한 감정을 느끼고 "그리움"을 느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자신이 다니던 초등학교에 가면 매우 그리운 기분이 되네요. 그런 "그리운"이라는 감정은 인간 고유의 감정입니다.

다른 동물에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개가 자신의 옛날 살았던 개집을 보면서 뻔뻔하고 있으면 놀랄 것입니다 (웃음).

인간의 희로애락이라는 감정은 단지 살아갈 뿐이라면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왜 인간만이 '그리움'처럼 짜증나거나 하는 감각을 느끼는가라고 생각하면, 그것은 아마 과거의 자신과 현재의 자신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그 장소에서 오랫동안 보낸 사람이라든가, 어린 시절에 방문한 적이 있는 사람이라든가는 그 장소를 방문함으로써 과거의 자신을 기억할 수 있다.

인간은 눈앞의 자신과 아침 일어난 자신이 같다는 것을 어떻게 증명하고 있는가 하면, 아침 일어났을 때의 경치와 지금의 경치가 같기 때문입니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전혀 다른 경치가 눈앞에 퍼져 있으면 정말 싫네요. 즉 인간은 눈으로 본 것과 뇌의 기억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인간의 시간의 연속성에 대한 확인이라는 감각은 매우 모호합니다.

그 불안을 테마로 카프카는 「변신」을 쓴 것입니다만, 그러한 시간적인 자신의 정체성을 눈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자신은 60년 살아 왔구나」라던가 낡은 건물은 느끼게 해주는 것 그래서…, 그러니까 삐걱거리는 거네요.

특히 공공 건축은 실용적으로 조금 부서졌다고 해서 곧바로 부서서는 안됩니다. 유럽은 그러한 부분을 매우 존중하고 있어 쪽에서는 공공 건축을 부수는 것은 일 수 없습니다.

- 확실히 일본에 비하면 해외에서는 오페라 하우스 등 오래된 공공 건축이 많이 남아있는 이미지가 있습니다.

유명한 오페라 하우스에서 지어진 100년 미만의 건축은 없고, 유럽의 사람들에게 있어서 공공 건축은 거기에 사는 사람들의 기억의 그릇이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전쟁으로 부서진 마을도 원래대로 재건하니까요. 프랑크푸르트라고 해 보면 옛 사진과 완전히 같은 거리가 남아 있는데 전혀 문화재가 된 건축물이 없습니다.

그것도 대전에서 붕괴해 버린 마을을 사진을 참고로 하면서 재현한 거리이기 때문입니다.

그 정도 건축이 그 도시나 사는 사람들에게 있어서의 시간적 정체성이며, 자신들의 문화가 계속되고 있다는 증명이 되는 것이라고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일본은 문화적인 습관 등 옛부터 계속되고 있는 것은 상당히 있습니다만 건축에 관해서는 그 의식이 조금 약한 생각이군요.

- 오늘은 음악당의 훌륭함, 공공 건축을 남겨 간다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여러가지 물어볼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조금 번외편적인 질문입니다만 후지모리 선생님이 스스로 음악 홀을 설계한다면, 또는 이런 홀이 있으면이라고 생각하는 플랜등 있습니까?

그렇네요. 음악 홀은 객석에서 스테이지를 향해 가라앉아가는 만들기가 되어 있지요.

그러니까 지상에서 점점 지하에 가라앉게 가서 그대로 객석에 앉을 수 있다고 홀이 있으면 재미있을까. 돌아가기가 힘들지만(웃음).

- 그것은 꽤 장대하네요 (웃음). 오늘은 정말 고마워요!

※카나가와 현립 음악당이 CASA BRUTAS 178호 「일본이 자랑하는 명작 모더니즘 건축 전 리스트」 에 게재되고 있습니다! 현재 서점에서 취급되고 있으므로 그쪽도 꼭 체크해 보세요!

관련 기사